가상화

2025. 6. 21. 17:10도커

모든 내용은 공부 후 정리해서 적어둔 내용입니다. 틀린 내용이 있다면 댓글로 말씀해 주세요.


가상화란?

가상화폐를 예로 들면, 가상화폐는 실제 동전이나 화폐처럼 만질 수는 없지만, 이를 통해서 물건을 사는 등 화폐의 역할은 할 수 있는 존재입니다.

 

이런 가상이란 개념을 컴퓨터의 가상화에 대입해 실제로 존재하는 컴퓨터는 아니지만 마치 존재하는 것처럼 컴퓨터 환경을 만들 어 주는 기술을 말합니다. 

다시 말해, "하나의 물리적인 컴퓨터 위에서 논리적으로 독립된 여러 개의 운영체제 환경을 실행할 수  있게 해주는 기술"입니다.


 

왜 사용할까?

예를 들어서 아래와 같은 서버가 있다고 가정해 봅시다.

  • 8 코어/64GB 성능
  • 평균적으로 1 코어/8GB씩 사용하는 프로그램 A 4개 실행
  • 운영체제도 1 코어/8GB 사용

위와 같다면 총 사용 리소스는 5 코어/40GB입니다.

아직 서버 리소스에 여유가 있고, 하나의 OS에서 실행되기 때문에 관리하기도 편해 보입니다.

 

여기서 문제는 격리되지 않은 환경입니다.

  • 하나의 프로그램에 문제가 생기면 다른 프로그램까지 영향을 받을 수 있음
  • 특정 프로그램이 리소스를 과도하게 사용하게 된다면 다른 프로그램이 제대로 실행되지 않을 가능성이 있음

이렇게 하나의 OS에서 모든 프로그램을 돌리면 안정성이 떨어지고, 장애 전파 가능성이 있습니다.

 

가상화 적용

가상화를 적용하면 하나의 컴퓨터에 여러 개의 논리적인 OS 환경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이렇게 만들어진 환경에 사용자가 리소스를 직접 분배할 수 있습니다.

(예: VM1에는 2 코어 16GB, VM2에는 1 코어 8GB 등)

 

이렇게 논리적으로 OS를 분리하면 필요한 총리소스는 늘지만 각각의 OS가 논리적으로 서로 격리되어 있기 때문에

하나의 VM에서 문제가 생겨도 다른 VM에 영향을 주지 않습니다.

 

다른 방법으로 하드웨어를 여러 대로 늘리는 방법이 있습니다.

이 방법은 가능하지만 현실적으로 고성능 하드웨어 1대를 사용해서 가상화를 적용하는 게 여러 대의 하드웨어를 사용하는 것보다

공간, 전력, 유지관리 비용 측면에서 훨씬 효율적입니다.

 


 

가상화 방식

가상화 방식에는 크게 두 가지 방식이 있습니다.

  1. 하이퍼바이저
  2. 컨테이너

이 두 가지는 다음 글에서 각각 설명드리겠습니다.

 

 

'도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커 이미지와 컨테이너  (1) 2025.07.08
컨테이너(Container)  (2) 2025.06.22
하이퍼바이저(Hypervisor)  (0) 2025.06.21